본문 바로가기

2.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10

[한국어 음성학] 한국어의 자음과 모음 한국어의 자음과 모음을 살펴보고, 자음과 모음을 더 정확하게 이해하기 위하여 음운과 음절의 개념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음운과 음절 한국어 자음과 모음을 살펴보기 전에 음운과 음절이라는 개념을 간단하게 알아보겠습니다. 1. 음운(phoneme) 음운은 단어의 뜻을 구분해주는 최소의 단위입니다. 한국어의 음운에는 음소와 운소가 있습니다. ▶ 음소와 운소 음소는 더 이상 쪼개어지지 않는 가장 작은 음운적 단위로, 자음(consonant)과 모음(vowel)이 여기에 해당합니다. ‘물’과 ‘불’은 자음 ‘ㅁ’과 ‘ㅂ’으로 뜻이 달라지고, ‘강’과 ‘공’은 모음 ‘ㅏ’와 ‘ㅗ’로 뜻이 달라집니다. 참고로, 물과 불, 강과 공처럼 단 하나의 자음 또는 모음(음운)으로 의미의 뜻을 변별할 수 있는 쌍을 최소.. 2024. 4. 9.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 [1. 한국어학] 한국어의 형태적 특징 한국어의 형태적 특징에 대해 살펴보고 관련 기출문제를 풀어보겠습니다. 한국어의 형태적 특징에 대한 문제는 자주 출제되는 내용이므로 잘 정리해둡시다. 언어의 분류: 형태적 분류와 계통적 분류 ​ 한국어의 형태적 특징을 살펴보기 전에, 언어의 형태적 특징이라는 뜻의 의미를 살펴보겠습니다. 언어를 분류하는 방법에는 크게 형태론적(morphological) 분류와 계통적(genetic) 분류가 있습니다. 형태론적 분류는 문장 안에서 단어와 단어간의 관계를 표시하는 방법에 따라 언어를 분류하는 방법으로, 모든 언어가 어근과 접사를 가진다는 관점에서 단어와 단어의 문법관계를 어떻게 표시하느냐에 따러 언어를 분류합니다. 형태론적 분류에 따르면 언어는 크게 고립어, 교착어, 굴절어 등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한국어는 .. 2024. 4. 9.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 [1. 한국어학] 한국어의 뜻 한국어의 뜻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국어와 한국어 차이 한국어의 특징을 살펴보기 전에 '한국어'의 뜻을 먼저 살펴보겠습니다. 한국어의 뜻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국어'의 뜻을 이해해야하는데요. 국어(國語)의 사전적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 국어(國語) 1. 한 나라의 국민이 쓰는 말. 한 국가가 공용어로 정하여 쓰고 있는 말. 나라말. 2. 우리나라의 언어. 한국의 공식 언어. 국어의 첫 번째 뜻은 '한 나라의 국민이 쓰는 말'이라는 뜻으로, 영국의 국어는 영어, 한국의 국어는 한국어가 되겠습니다. 국어의 두 번째 뜻은 다른 나라의 말과 구별하여 특별히 우리나라(대한민국)의 사람들이 쓰는 말, 즉 '한국어'를 가리키는 명사로서의 뜻입니다. 다시 정리를 해보면, '국어'는 우리말을 나라 안에서 지칭할 때 쓰.. 2024. 4. 2.
한국어교육능력시험 과목 영역 및 내용 한국어교육능력시험은 한국어를 가르칠 수 있는 능력이 있는지를 평가하는 시험입니다. 따라서 한국어와 언어 자체에 대한 언어적 지식을 갖추고 있는지를 묻는 문제와 한국어를 가르칠 수 있는 교육론적 지식을 갖추고 있는지를 묻는 문제가 출제됩니다. 한국어교육능력시험 과목 안내 필기 시험 1교시는 한국어학과 일반언어학 및 응용언어학 관련 문제가 총 80문항, 각각 60 및 20 문항씩 출제가 됩니다. 한국어에 대한 지식을 묻는 질문이 60문항으로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교시 과목은 한국문화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론으로 총 113문항이 출제되며 한국문화는 20문항으로 적은 반면, 교육론 관련 문제는 93문항을 차지합니다. 이중 1문항은 주관식 문항으로 교안을 작성하는 문제입니다. 나머지.. 2024. 4.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