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한국어교육 : 시험 정보

한국어교육능력시험 과목 영역 및 내용

by K선생님 2024. 4. 2.

한국어교육능력시험은 한국어를 가르칠 수 있는 능력이 있는지를 평가하는 시험입니다. 따라서 한국어와 언어 자체에 대한 언어적 지식을 갖추고 있는지를 묻는 문제와 한국어를 가르칠 수 있는 교육론적 지식을 갖추고 있는지를 묻는 문제가 출제됩니다.


한국어교육능력시험 과목 안내

 

필기 시험 1교시는 한국어학과 일반언어학 및 응용언어학 관련 문제가 총 80문항, 각각 60 및 20 문항씩 출제가 됩니다.

한국어에 대한 지식을 묻는 질문이 60문항으로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교시 과목은 한국문화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론으로 총 113문항이 출제되며 한국문화는 20문항으로 적은 반면, 교육론 관련 문제는 93문항을 차지합니다. 이중 1문항은 주관식 문항으로 교안을 작성하는 문제입니다. 나머지 문항들은 모두 4지선다형 객관식 문항들입니다. 

 


 

한국어교육능력시험 과목 세부 내용

 

한국어교육은 크게 한국어학, 일반언어학 및 응용언어학,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론, 한국문화, 그리고 한국어교육실습으로 나뉘는데요. 한국어교육실습의 경우, 한국어교육 양성과정에서 실제로 실습을 현장으로(온라인/오프라인) 나가게 됩니다. 따라서 한국어교육능력시험 과목에는 포함되어있지 않고, 실습을 제외한 나머지 4개의 과목에서만 평가를 하게 됩니다.

 

1. 한국어학 (60문항)

한국어학은 한국어의 특징과 한국어의 음운, 문법, 어휘, 의미, 화용, 역사, 어문규범 등의 내용을 다룹니다. 세부 과목으로는 한국어 음성음운론, 한국어 어휘형태론, 한국어 통사론, 한국어 의미론, 한국어 화용론, 한국어사, 어문규범 등이 있습니다.

- 한국어 음성학 및 음운론은 한국어의 음운체게, 한국어의 음절구조, 한국어 음운 변동, 어감의 분화 등을 다루는 학문입니다.

- 한국어 어휘형태론은 한국어의 형태소, 단어, 어휘의 개념과 결합, 어휘범주의 의미적 문법적 특징들을 다루는 학문입니다.

- 한국어 통사론에서는 문법단위, 문장 성분, 문장의 확대, 문법요소의 기능과 의미 등을 다루는 학문입니다.

- 한국어 의미론은 의미의 의미, 의미론에 관련된 개념들, 의미들 간의 관계 등을 다루는 학문입니다.

- 한국어 화용론은 화용론의 기본 개념, 담화 구조, 담화의 기능, 담화의 표현 양식 등에 대해 다루는 학문입니다.

- 한국어사는 중세국어를 중심으로 한국어의 역사를 다루는 학문입니다.

- 언어규범은 한글맞춤법, 표준어 규정, 문장부호, 외래어 표기법, 로마자 표기법, 표준화법과 오용사례 등을 다룹니다.

 

2. 일반언어학 및 응용언어학 (20문항)

일반언어학은 일반 언어의 보편적인 구조와 특징 및 음운, 문법, 어휘, 의미, 화용, 역사 등 일반언어학의 하위분야에 대한 내용을 다루며, 응용언어학은 일반언어학의 연구결과를 실용적인 문제에 적용 및 응용하는 학문이다. 세부 과목에는 응용언어학, 언어학개론, 대조언어학, 사회언어학, 심리언어학, 외국어습득론 등이 있습니다. 

 

 

3.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론(93문항)

외국어로서 한국어교수법 전반에 관한 내용으로 교육방법에 대한 내용이 주를 이룹니다. 세부과목으로는 한국어교육개론, 한국어교육과정론, 한국어평가론, 한국어발음교육론, 한국어문법교육론, 한국어어휘교육론, 한국어말하기교육론, 한국어듣기교육론, 한국어쓰기교육론, 한국어읽기교육론, 한국어문화교육론 등이 있습니다.

 

4. 한국문화 (20문항)

한국문화는 국어교육에 필요한 역사, 민속, 철학, 정치, 경제, 사회, 지리, 예술 등에 관련한 내용으로, 세부과목으로 한국의 현대문화, 한국의 전통문화, 한국문학개론, 한국 문학의 이해 등이 있습니다.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 기출문제 예시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은 한국어에 대한 언어지식 뿐 아니라 교수법 등 교육론적 지식을 갖추고 있는지 묻는 시험인데요. 기출문제를 한회 풀어보면 어떤 방향으로 공부를 해야할지 감이 좀 오실 겁니다.

 

2023년 18회 기출문제 파일입니다.

2023년도 제18회 한국어교육능력검정 1차시험 1교시.pdf
0.76MB
2023년도 제18회 한국어교육능력검정 1차시험 2교시.pdf
0.83MB

 

1. 한국어학 ( 2023년 18회 1교시 1-60)

한국어학은 1교시 시험과목으로 총 60문항이 출제됩니다. 1교시 1번부터 60번까지가 한국어학 문제입니다.

 

2. 일반언어학 및 응용언어학 (2023년 18회 1교시 61-80)

일반언어학 및 응용언어학 문제는 총 20문항으로, 1교시 61번부터 80번 문항입니다.

 

3. 한국문화(2023년 18회 2교시 1-20)

한국문화는 2교시 과목으로 1번에서 20번까지 총 20문항이 출제됩니다. (문제를 한번 보시면 아시겠지만, 저는 한국문화가 제일 어려운거 같습니다 ㅠㅠ)

 

 

4.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론(2023년 18회 2교시 21-113)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론은 가장 문항수가 많은 파트인데요. 2교시 21번부터 113번까지 총 93문항이며, 마지막 113번 문항의 경우 유일한 주관식 문항으로 교안을 작성하는 문항입니다.

 

아래 113번 문항이 주관식 문항으로, 교수안을 작성하는 문항입니다.

 

기출 문제 몇부분만 발췌하여 가지고 왔는데, 대충 훑어보시면 알겠지만 문제가 쉽지 않습니다. 따라서 기출 분석을 하여, 효율적으로 공부하여야 합격을 할 수 있을 거 같습니다. 앞으로 각 영역별 필요한 이론과 개념들을 정리해서 올려보도록 하겠습니다. 


한국어교육능력시험 합격 기준

 

한국어교육능력시험은 위에서 보았듯이 총 4개 영역에서 출제가 됩니다. 각 영역 40퍼센트 이상 득점해야하며, 4개의 영역의 총점의 60퍼센트 이상을 득점해야합니다. 전체 총합이 60퍼센트가 되더라도, 한 과목이라도 40퍼센트를 득점하지 못하면 불합격할 수 있는 시험입니다. 

 


본 글은 국립국어원 한국어교원 자료(출처: https://kteacher.korean.go.kr/) 한국산업인력공단 한국어교육능력시험 자료( https://www.q-net.or.kr/man001.do?gSite=L&gId=36)를 참고하여 작성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