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10

[한국어 음운론] [음운규칙] 두음법칙 한국어의 음운변동 현상 중 두음법칙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음운변동의 종류 두음법칙을 살펴보고 전에 음운변동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음운은 단어의 뜻을 구분해주는 최소의 단위입니다. 자음 모음이 이에 해당하는데요. 음운 변동은 발음과 관련이 되어있는 현상입니다. 음운 변동이란 음운을 발음 할 때 음운에 변동이 생기는 현상입니다. 이러한 음운 변동은 어떤 규칙에 따라 발생하기 때문에 일정한 기호와 형식으로 규정한 규칙을 음운규칙이라고 합니다. 음운의 변동 현상에는 - 한 개의 음운이 다른 음운으로 바뀌는 교체(대치)현상, - 한 개의 음운이 다른 음운과 비슷해지는 동화현상, - 두 개의 음운이 하나의 음운으로 줄어드는 축약현상, - 두 개의 음운 중 한 음운이 없어지는 탈락현상, - 없던 음운이 새로 생기.. 2024. 4. 12.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 기출 풀이] [1.한국어학] 음절 끝소리 규칙 음절 끝소리 규칙에 대해 살펴보고 관련 기출문제를 풀어보겠습니다. 음운과 음절 음절의 끝소리 규칙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음절이라는 단어의 뜻을 알아야하므로 음운과 음절에 대해 먼저 알아보겠습니다. ▶ 음운 음운은 단어의 뜻을 구분해주는 최소의 단위입니다. 음운에는 음소와 운소가 있습니다. 음소는 더 이상 쪼개어지지 않는 가장 작은 음운적 단위로, 자음(consonant)과 모음(vowel)이 음소에 해당합니다. 운소는 비분절 음운으로 소리의 길이, 성조, 억양 등을 의미합니다. 우리말에서는 엄연히 말하면 소리의 길이만 의미를 변별해주는 역할을 하며, 강세나 억양으로 뜻이 나뉘지는 않습니다. ▶ 음절 음절은 발음할 때 한번에 낼 수 있는 소리의 단위입니다. 음절을 자음과 모음이 결합하여 만들어집니다. 음절의.. 2024. 4. 10.
[한국어 음운론] [음운 규칙] 음절 끝소리 규칙 음운규칙 음운규칙이란 음운의 변화현상을 뜻하며, 음운이 실제로 발화될 때 발음이 되는 규칙을 뜻합니다. 음운은 단어의 뜻을 구분해주는 최소의 단위입니다. 음운규칙은 크게 동화, 이화, 삽입, 탈락, 축약, 강화, 약화, 도치, 대치 등이 있습니다. - 동화는 소리가 비슷해지는 현상, - 이화는 비슷한 소리가 달라지는 현상, - 삽입은 없던 음운이 추가되는 현상, - 탈락은 있던 음운이 탈락되는 현상, - 축약은 두 음운이 하나로 줄어드는 현상, - 강화는 소리가 강해지는 현상 - 약화는 소리가 약해지는 현상 - 도치는 음운의 위치가 서로 바뀌는 현상 - 대치는 다른 음운으로 바뀌는 현상을 말합니다. 한국어에도 음절의 끝소리 규칙, 두음 법칙, 자음 동화, 구개음화, 경음화, 모음 동화, 사잇소리 현상, .. 2024. 4. 10.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 [1. 한국어학] 훈민정음 창제 원리 / 한글 창제 원리 / 한글 훈민정음의 뜻과 창제 원리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훈민정음과 한글 훈민정음: 한글의 옛 이름이자 한글을 소개한 책 이름 훈민정음(訓民正音)이란 '백성을 가르치는 올바른 소리'라는 뜻으로, 세종대왕이 1442년에 창체하고 1446년 공포한 한국의 문자를 뜻합니다. 훈민정음이 만들어지기 이전 우리 민족은 한자의 음과 뜻을 빌려 우리말로 표기하였습니다. 세종대왕은 우리나라 백성들이 남의 나라 글자인 한자를 빌려 사용하는 것을 안타깝게 여겨 백성들이 쉽게 읽을 수 있는 문자를 만들게 되었고 이것이 바로 훈민정음입니다. 훈민정음은 우리나라 문자인 한글의 옛 이름이기도 하지만, 이를 소개한 책 《훈민정음》을 지칭하기도 합니다. 책 《훈민정음》은 한글을 읽고 쓰는 방법을 소개한 '해례본'과 글자를 만들게 된 이유에 .. 2024. 4.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