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한국어교육 : 기출문제 분석4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 기출 풀이] [1.한국어학] 음절 끝소리 규칙 음절 끝소리 규칙에 대해 살펴보고 관련 기출문제를 풀어보겠습니다. 음운과 음절 음절의 끝소리 규칙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음절이라는 단어의 뜻을 알아야하므로 음운과 음절에 대해 먼저 알아보겠습니다. ▶ 음운 음운은 단어의 뜻을 구분해주는 최소의 단위입니다. 음운에는 음소와 운소가 있습니다. 음소는 더 이상 쪼개어지지 않는 가장 작은 음운적 단위로, 자음(consonant)과 모음(vowel)이 음소에 해당합니다. 운소는 비분절 음운으로 소리의 길이, 성조, 억양 등을 의미합니다. 우리말에서는 엄연히 말하면 소리의 길이만 의미를 변별해주는 역할을 하며, 강세나 억양으로 뜻이 나뉘지는 않습니다. ▶ 음절 음절은 발음할 때 한번에 낼 수 있는 소리의 단위입니다. 음절을 자음과 모음이 결합하여 만들어집니다. 음절의.. 2024. 4. 10.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 [1. 한국어학] 훈민정음 창제 원리 / 한글 창제 원리 / 한글 훈민정음의 뜻과 창제 원리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훈민정음과 한글 훈민정음: 한글의 옛 이름이자 한글을 소개한 책 이름 훈민정음(訓民正音)이란 '백성을 가르치는 올바른 소리'라는 뜻으로, 세종대왕이 1442년에 창체하고 1446년 공포한 한국의 문자를 뜻합니다. 훈민정음이 만들어지기 이전 우리 민족은 한자의 음과 뜻을 빌려 우리말로 표기하였습니다. 세종대왕은 우리나라 백성들이 남의 나라 글자인 한자를 빌려 사용하는 것을 안타깝게 여겨 백성들이 쉽게 읽을 수 있는 문자를 만들게 되었고 이것이 바로 훈민정음입니다. 훈민정음은 우리나라 문자인 한글의 옛 이름이기도 하지만, 이를 소개한 책 《훈민정음》을 지칭하기도 합니다. 책 《훈민정음》은 한글을 읽고 쓰는 방법을 소개한 '해례본'과 글자를 만들게 된 이유에 .. 2024. 4. 9.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 [1. 한국어학] 한국어의 형태적 특징 한국어의 형태적 특징에 대해 살펴보고 관련 기출문제를 풀어보겠습니다. 한국어의 형태적 특징에 대한 문제는 자주 출제되는 내용이므로 잘 정리해둡시다. 언어의 분류: 형태적 분류와 계통적 분류 한국어의 형태적 특징을 살펴보기 전에, 언어의 형태적 특징이라는 뜻의 의미를 살펴보겠습니다. 언어를 분류하는 방법에는 크게 형태론적(morphological) 분류와 계통적(genetic) 분류가 있습니다. 형태론적 분류는 문장 안에서 단어와 단어간의 관계를 표시하는 방법에 따라 언어를 분류하는 방법으로, 모든 언어가 어근과 접사를 가진다는 관점에서 단어와 단어의 문법관계를 어떻게 표시하느냐에 따러 언어를 분류합니다. 형태론적 분류에 따르면 언어는 크게 고립어, 교착어, 굴절어 등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한국어는 .. 2024. 4. 9.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 [1. 한국어학] 한국어의 뜻 한국어의 뜻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국어와 한국어 차이 한국어의 특징을 살펴보기 전에 '한국어'의 뜻을 먼저 살펴보겠습니다. 한국어의 뜻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국어'의 뜻을 이해해야하는데요. 국어(國語)의 사전적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 국어(國語) 1. 한 나라의 국민이 쓰는 말. 한 국가가 공용어로 정하여 쓰고 있는 말. 나라말. 2. 우리나라의 언어. 한국의 공식 언어. 국어의 첫 번째 뜻은 '한 나라의 국민이 쓰는 말'이라는 뜻으로, 영국의 국어는 영어, 한국의 국어는 한국어가 되겠습니다. 국어의 두 번째 뜻은 다른 나라의 말과 구별하여 특별히 우리나라(대한민국)의 사람들이 쓰는 말, 즉 '한국어'를 가리키는 명사로서의 뜻입니다. 다시 정리를 해보면, '국어'는 우리말을 나라 안에서 지칭할 때 쓰.. 2024. 4. 2.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