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한국어교육: 개념 및 이론 정리3

[한국어 음운론] [음운규칙] 두음법칙 한국어의 음운변동 현상 중 두음법칙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음운변동의 종류 두음법칙을 살펴보고 전에 음운변동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음운은 단어의 뜻을 구분해주는 최소의 단위입니다. 자음 모음이 이에 해당하는데요. 음운 변동은 발음과 관련이 되어있는 현상입니다. 음운 변동이란 음운을 발음 할 때 음운에 변동이 생기는 현상입니다. 이러한 음운 변동은 어떤 규칙에 따라 발생하기 때문에 일정한 기호와 형식으로 규정한 규칙을 음운규칙이라고 합니다. 음운의 변동 현상에는 - 한 개의 음운이 다른 음운으로 바뀌는 교체(대치)현상, - 한 개의 음운이 다른 음운과 비슷해지는 동화현상, - 두 개의 음운이 하나의 음운으로 줄어드는 축약현상, - 두 개의 음운 중 한 음운이 없어지는 탈락현상, - 없던 음운이 새로 생기.. 2024. 4. 12.
[한국어 음운론] [음운 규칙] 음절 끝소리 규칙 음운규칙 음운규칙이란 음운의 변화현상을 뜻하며, 음운이 실제로 발화될 때 발음이 되는 규칙을 뜻합니다. 음운은 단어의 뜻을 구분해주는 최소의 단위입니다. 음운규칙은 크게 동화, 이화, 삽입, 탈락, 축약, 강화, 약화, 도치, 대치 등이 있습니다. - 동화는 소리가 비슷해지는 현상, - 이화는 비슷한 소리가 달라지는 현상, - 삽입은 없던 음운이 추가되는 현상, - 탈락은 있던 음운이 탈락되는 현상, - 축약은 두 음운이 하나로 줄어드는 현상, - 강화는 소리가 강해지는 현상 - 약화는 소리가 약해지는 현상 - 도치는 음운의 위치가 서로 바뀌는 현상 - 대치는 다른 음운으로 바뀌는 현상을 말합니다. 한국어에도 음절의 끝소리 규칙, 두음 법칙, 자음 동화, 구개음화, 경음화, 모음 동화, 사잇소리 현상, .. 2024. 4. 10.
[한국어 음성학] 한국어의 자음과 모음 한국어의 자음과 모음을 살펴보고, 자음과 모음을 더 정확하게 이해하기 위하여 음운과 음절의 개념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음운과 음절 한국어 자음과 모음을 살펴보기 전에 음운과 음절이라는 개념을 간단하게 알아보겠습니다. 1. 음운(phoneme) 음운은 단어의 뜻을 구분해주는 최소의 단위입니다. 한국어의 음운에는 음소와 운소가 있습니다. ▶ 음소와 운소 음소는 더 이상 쪼개어지지 않는 가장 작은 음운적 단위로, 자음(consonant)과 모음(vowel)이 여기에 해당합니다. ‘물’과 ‘불’은 자음 ‘ㅁ’과 ‘ㅂ’으로 뜻이 달라지고, ‘강’과 ‘공’은 모음 ‘ㅏ’와 ‘ㅗ’로 뜻이 달라집니다. 참고로, 물과 불, 강과 공처럼 단 하나의 자음 또는 모음(음운)으로 의미의 뜻을 변별할 수 있는 쌍을 최소.. 2024. 4.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