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한국어교육: 개념 및 이론 정리

[한국어 음성학] 한국어의 자음과 모음

by K선생님 2024. 4. 9.
   
   

 

 

한국어의 자음과 모음을 살펴보고,

자음과 모음을 더 정확하게 이해하기 위하여

음운과 음절의 개념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음운과 음절

 

한국어 자음과 모음을 살펴보기 전에 음운과 음절이라는 개념을 간단하게 알아보겠습니다.

 

1. 음운(phoneme)

음운단어의 뜻을 구분해주는 최소의 단위입니다. 한국어의 음운에는 음소운소가 있습니다.

 

▶ 음소와 운소

음소는 더 이상 쪼개어지지 않는 가장 작은 음운적 단위로, 자음(consonant)과 모음(vowel)이 여기에 해당합니다.

‘물’과 ‘불’은 자음 ‘ㅁ’과 ‘ㅂ’으로 뜻이 달라지고, ‘강’과 ‘공’은 모음 ‘ㅏ’와 ‘ㅗ’로 뜻이 달라집니다.

참고로, 물과 불, 강과 공처럼 단 하나의 자음 또는 모음(음운)으로 의미의 뜻을 변별할 수 있는 쌍을 최소대립쌍(minimal pair)라고 합니다. 

 

운소란 소리의 길이, 성조, 억양 등을 의미합니다.

달리는 ‘말’과 사람의 생각을 표현하는 ‘말:’은 모양은 같으나 소리의 길이에 따라 뜻이 달라집니다. 

 

2. 음절(syllable)

음절은 발음 가능한 최소의 단위입니다. 즉 소리를 낼 수 있는 최소의 단위입니다. 

음절을 만들기 위해서는 모음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그래서

한국어에서 음절의 수는 모음의 수와 일치합니다. 

 

▶ 음절의 구조

음절은 초성, 중성, 종성으로 이루어집니다.

초성과 종성에는 자음이 오며, 중성에는 모음이 옵니다.

음절은 자음은 없어도 되지만, 모음은 반드시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한국어의 음절구조

따라서 한국어에서 가능한 음절의 구조는 네 가지로 다음과 같습니다.

  - 모음(V): 아

  - 자음+모음(CV): 가, 자

  - 모음+자음(VC): 악, 안

  - 자음+모음+자음(CVC): 각, 잔 

 


한국어의 자음과 모음

 

자음(consonant)은 발음이 될 때 장애를 받는 소리이며, 모음(vowel)은 발음을 할 때 아무런 장애를 받지 않는 소리입니다. 한국어의 자음과 모음을 살펴보고 특징을 알아보겠습니다.


1. 한국어의 자음

 

① 한국어의 자음은 총 19개입니다. 

한국어의 기본 자음(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은 14개이며, 쌍자음(ㄲ ㄸ ㅃ ㅆ ㅉ)이 5개입니다.

 

한국어 자음 순서

한국어 자음의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사전에 올릴 시 자음의 순서를 다음과 같이 합니다.

ㄱ ㄲ ㄴ ㄷ ㄸ ㄹ ㅁ ㅂ ㅃ ㅅ ㅆ ㅇ ㅈ ㅉ ㅊ ㅋ ㅌ ㅍ ㅎ

 

한국어 자음 발음

한국어 자음의 발음은 다음과 같습니다.

ㄱ: 기역

ㄲ: 쌍기역 (끼역X)

ㄴ: 니은

ㄷ: 디귿

ㄸ: 쌍디귿(띠귿X)

ㄹ: 리을

ㅁ: 미음

ㅂ: 비읍

ㅃ: 쌍비읍(삐읍X)

ㅅ: 시옷

ㅆ: 쌍시옷(씨옷X)

ㅇ: 이응

ㅈ: 지읒

ㅉ: 쌍지읒(찌읒X)

ㅊ: 치읓

ㅋ: 키읔

ㅌ: 티읕

ㅍ: 피읖

ㅎ: 히읗

 

▶ 비슷한 성질끼리 한국어 자음을 다음과 같이 정리해보았습니다. 

ㅂ ㄷ ㅈ ㄱ
ㅍ ㅌ ㅊ ㅋ
ㅃ ㄸ ㅉ ㄲ
ㅅ ㅎ

ㅁ ㄴ ㅇ

 

② 한국어 자음은 평음, 경음, 격음을 모두 갖는 것이 특징입니다. 평음 경음 격음은 소리의 세기에 따른 분류입니다.

 

  소리의 세기에 따른 자음의 분류

평음 (예사 소리)
ㅂ ㄷ ㄱ ㅈ ㅅ ㅎ
경음 (된소리)
ㅃ ㄸ ㄲ ㅉ ㅆ
격음 (거센소리)
ㅍ ㅌ ㅋ ㅊ

 

 

③ 자음은 발음을 할 때 장애를 받는 소리입니다. 소리를 발음할 때 장애가 일어나는 자리를 ‘조음 위치’라고 하며, 장애를 일으키는 방법을 ‘조음 방법’이라고 합니다. 한국어의 자음은 조음 위치와 조음 방법에 따라 다음과 분류할 수 있습니다.

 

▶ 조음 위치 (place of articulation) 에 따른 자음의 분류

양순음
ㅂ ㅍ ㅃ ㅁ
두 입술을 맞대어 소리를 낸다
치음
ㄴ ㄷ ㄸ ㅌ ㄹ ㅅ ㅆ
혀끝과 윗니 뒤의 잇몸이 접촉하여 소리를 낸다
경구개음
ㅈ ㅉ ㅊ
혀의 앞부분(전설)과 경구개가 접촉하여 소리를 낸다
연구개음
ㅇ ㄱ ㄲ ㅋ
혀의 뒷부분과 연구개가 접촉하여 소리를 낸다
성문음/후음

성문에서 소리를 낸다

 

조음 방법 (manner of articulation) 에 따른 자음의 분류

파열음
ㅂ ㅃ ㅍ ㄷ ㄸ ㅌ ㄱ ㄲ ㅋ
공기의 흐름을 막았다가 터뜨리며 발음되는 소리
파찰음
ㅈ ㅉ ㅎ
공기를 압축하였다가 파찰 대신 천천히 마찰시키며 발음하는 소리
마찰음
ㅅ ㅆ ㅎ
좁은 틈으로 공기가 통과하며 마찰이 일어나 발음되는 소리
비음
ㅁ ㄴ ㅇ
공기가 비강(코)를 통해 나오는 소리
유음

공기 흐름에 장애를 가장 적게 받으며 발음되는 소리

  

 

④ 한국어는 목청의 울림에 따라 자음을 울림소리와 안울림소리로 나눌 수 있습니다. 자음 중 비음(ㄴ ㅁ ㅇ)와 유음(ㄹ)은 입안이나 코를 울리며 나는 소리로 울림소리라고 하며, 나머지는 15개 자음은 안울림소리라고 합니다.

▶ 목청의 울림에 따른 자음의 분류

울림소리 ㄴ ㅁ ㅇ ㄹ 발음할 때 목청이 떨려 울리면서 나는 소리
안울림소리 ㄴ ㅁ ㅇ ㄹ을 제외한 모든 자음 발음할 때 목청이 울리지 않고 나는 소리

 


2. 한국어의 모음

모음은 발음할 때 장애를 받지 않으며 모두 울림소리입니다.

 

① 한국어의 모음은 총 21개입니다.

 

② 한국어의 모음은 단모음(10개)과 이중모음(11개) 으로 구별됩니다.

한국어의 모음은 단모음(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이 10개이며, 이중모음(ㅐ ㅒ ㅔ ㅖ ㅘ ㅙ ㅚ ㅝ ㅞ ㅟ ㅢ)이 11개로 총 21개입니다. 단모음이란 소리를 내는 도중에 입술이나 혀의 모양이 바뀌지 않는 모음을 뜻하며, 이중모음이란 소리를 내는 도중에 입술이나 혀가 움직여 소리의 처음과 끝이 다른 모음입니다.

 

 한국어 모음 순서

한국어 모음의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사전에 올릴 시 자음의 순서를 다음과 같이 합니다.

ㅏ ㅐㅑ ㅒㅓ ㅔ ㅕ ㅖ  ㅗ ㅘ ㅙ ㅚ ㅛ ㅜ ㅝ ㅞ ㅟ ㅠ ㅡ  ㅢㅣ

 

한국어 모음 발음

ㅏ(아) 

ㅐ(애)

ㅑ(야)

ㅒ(얘)

ㅓ(어)   

ㅔ (에) 

ㅕ(여)

ㅖ(예)

 ㅗ(오)

ㅘ(와)

ㅙ(왜)

ㅚ(외)

ㅛ(요)

ㅜ(우)

ㅝ(워)

ㅞ(웨)

ㅟ(위)

ㅠ(유)

ㅡ(으) 

ㅢ(의)

ㅣ(이)

 

③ 한국어의 모음은 혀의 높이, 혀의 위치, 입술 모양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 혀의 높이에 따른 모음의 분류

고모음
ㅣ (ㅟ) ㅡ ㅜ
중모음
ㅔ (ㅚ) ㅓ ㅗ
저모음
ㅐ ㅏ

 

  혀의 위치에 따른 모음의 분류

전설모음
ㅣ ㅔ ㅐ (ㅟ) (ㅚ)
중설모음
ㅡ ㅓ ㅏ
후설모음
ㅜ ㅗ

 

  입술 모양에 따른 모음의 분류

원순모음
ㅜ ㅗ (ㅟ) (ㅚ)
평순모음
ㅣ ㅔ ㅐ ㅡ ㅓ ㅏ

  

 


위의 내용은 한글맞춤법 규정을 참고하였습니다.

https://www.law.go.kr/%ED%96%89%EC%A0%95%EA%B7%9C%EC%B9%99/%ED%95%9C%EA%B8%80%EB%A7%9E%EC%B6%A4%EB%B2%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