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의 뜻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국어와 한국어 차이
한국어의 특징을 살펴보기 전에 '한국어'의 뜻을 먼저 살펴보겠습니다.
한국어의 뜻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국어'의 뜻을 이해해야하는데요.
국어(國語)의 사전적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
국어(國語) 1. 한 나라의 국민이 쓰는 말. 한 국가가 공용어로 정하여 쓰고 있는 말. 나라말. 2. 우리나라의 언어. 한국의 공식 언어. |
국어의 첫 번째 뜻은 '한 나라의 국민이 쓰는 말'이라는 뜻으로, 영국의 국어는 영어, 한국의 국어는 한국어가 되겠습니다. 국어의 두 번째 뜻은 다른 나라의 말과 구별하여 특별히 우리나라(대한민국)의 사람들이 쓰는 말, 즉 '한국어'를 가리키는 명사로서의 뜻입니다.
다시 정리를 해보면, '국어'는 우리말을 나라 안에서 지칭할 때 쓰는 대내적 용어이고, '한국어'는 다른 나라 말과 관련시켜 우리말을 지칭할 때 쓰는 대외적 용어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국어교육과 한국어교육의 차이
국어교육은 자국어로 국어를 가르치고 배우는 것이며, 한국어교육은 제2외국어로 국어를 가르치고 배우는 것입니다. 우리가 학교에서 배우는 '국어'는 '국어교육'에 해당이 되며, '한국어교육'이라고 하지 않습니다.
일반 국민을 대상으로 국어를 가르치는 초등학교 및 중・고등학교 (국어) 정교사 자격증은 교육부 장관이 발급하며,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국어를 가르치는 한국어교원 자격은 문화체육관광부에서 발급하고, 국립국어원에서 주관하고 있습니다. 국어 정교사 자격을 갖춘 사람이라도 한국어교원 자격증을 별개로 취득해야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국어를 가르칠 수 있습니다.
한국어와 한글 차이
한글과 한국어라는 말이 일상에서 혼용되어 사용되는 경우가 있는데요. 둘은 완전히 다른 말입니다. 한국어는 우리나라 사람들이 쓰는 언어를 지칭하는 말이며, 한글은 한국어라는 언어를 표기하기 위해 사용하는 문자의 이름입니다. 즉, 한국어는 언어이고 한글은 문자입니다.
한국어의 또다른 명칭
대한민국에서는 '한국어'라는 명칭을 표준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일상에서는 '한국말' 또는 '우리말'이라고도 표현합니다. 대한민국 밖의 지역에서 사용되는 한국어의 또 다른 명칭으로는 중앙아시아 지역의 고려인들이 사용하는 '고려말'과 북한 및 조선족 등이 사용하는 '조선어' 또는 '조선말'도 있습니다.
'한국어 뜻' 에 관한 기출문제
★ 2022년 17회 1번 문제에 한국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을 고르는 문제가 출제되었었습니다. 한번 풀어보세요!
※ 해설
2022년 17회 1번 문제 정답은 1번입니다.
① 대외적으로 한국어를 지칭할 때는 '국어'가 아닌 '한국어'라고 합니다. '국어'는 우리말을 나라 안에서 지칭할 때 쓰는 대내적 용어이고, '한국어'는 다른 나라 말과 관련시켜 우리말을 지칭할 때 쓰는 대외적 용어입니다.
② 한글과 한국어를 동일시하는 것은 잘못된 인식이 맞습니다. 한국어는 언어를 지칭하는 용어이며, 한글을 한국어라는 언어를 표기하기위해 사용되는 문자입니다.
③ 한국어라는 명칭 대신 고려말, 조선어, 조선말 등이 쓰입니다.
④ 한국어가 정확히 몇만명이 사용하는지는 모르겠으나.. 7천만명 이상 세계적으로 사용하는 언어가 맞습니다.
한국어의 뜻과 관련된 문제는 많이 출제되지는 않았으나, 한국어, 국어, 한글 각각에 대한 정확한 개념을 정리해두어야 합니다. 다음 시간에는 한국어의 일반적 특징에 대한 개념과 기출문제를 살펴보도록하겠습니다.
'2.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 > 한국어교육 : 기출문제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 기출 풀이] [1.한국어학] 음절 끝소리 규칙 (0) | 2024.04.10 |
---|---|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 [1. 한국어학] 훈민정음 창제 원리 / 한글 창제 원리 / 한글 (0) | 2024.04.09 |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 [1. 한국어학] 한국어의 형태적 특징 (0) | 2024.04.09 |